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인터폰 소리 안 날 때? 갑자기 고장났을 때 확인할 것들

by 춘시기러버 2025. 4. 11.
반응형

수리 부르기 전에 스스로 점검하는 법
갑자기 인터폰 소리가 나지 않거나, 모니터 화면이 켜지지 않으면
“이거 고장인가?” 싶은데 막상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겠죠.
전기 관련이니 겁부터 나지만, 사실은 간단한 점검으로 해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!


⚠️ 인터폰 소리 안 나는 상황별 원인 & 점검 포인트

① 실내 수신기(실내 인터폰)에서 아무 반응이 없을 때

  • 🔌 전원 문제
    → 벽면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가 빠졌거나 헐겁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요.
    → 일부 제품은 콘센트가 아닌 전기 배선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차단기 확인 필요!
  • 🔧 퓨즈 또는 전원부 고장
    → 제품 내부 전원부에 문제 생기면 전원은 들어와도 기능이 작동 안 되는 경우가 있음.
  • 🧱 내부 배선 단선
    → 오래된 아파트나 빌라에서는 벽 안 배선이 끊겨 신호 전달이 안 될 수 있어요.

② 인터폰 화면은 켜지는데 소리만 안 나는 경우

  • 🔉 벨/스피커 설정 음소거 상태
    → 요즘 디지털 인터폰은 벨 소리를 꺼놓을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.
    메뉴 진입 → 벨소리 설정 확인!
  • 🔊 스피커 고장
    → 화면은 멀쩡한데 소리만 안 날 경우, 스피커 부분만 교체도 가능.
  • 📢 현관 쪽 마이크/스피커 불량
    → 상대방 소리는 들리는데, 내가 말한 건 전달이 안 된다면 마이크나 수음부 문제일 수 있음.

🔧 셀프 점검 & 임시 해결법

  1. 전원선 확인하기 (플러그형 제품일 경우)
    → 플러그 빼고 다시 꽂아보기. 접촉 불량이면 이걸로 해결되기도 해요.
  2. 차단기 OFF/ON 후 재부팅
    → 전기 직결형 제품은 차단기 내렸다 올리면 리셋 효과 있음.
  3. 벨소리 설정 메뉴 확인 (디지털형 인터폰)
    → 벨소리 음소거 or 볼륨 0 설정된 경우 많습니다.
  4. 실내기/실외기 연결선 확인 (간단한 모델일 경우)
    → 육안으로 연결상태 확인, 빠진 선 없는지 체크.

🔧 그래도 안 될 때? 수리 or 교체 고려 포인트

  • 🏘 아파트/빌라 관리실 문의
    → 공동설비인 경우 관리실에서 무상 점검/수리해주는 경우도 있어요.
    특히 신축 아파트나 임대주택은 보증 기간일 수도!
  • 🛠 제품 모델명 확인 후 A/S 접수
    → 인터폰 본체 뒷면 또는 측면에 모델명이 적혀 있음 → 브랜드 고객센터 문의
  • 💸 교체 비용은?
    • 단순 스피커/화면 문제: 약 5~7만 원
    • 전체 교체 시: 10만 원~15만 원대 (브랜드/기능 따라 다름)
  • 📷 교체 시 영상통화 기능 있는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가능!
    → Wi-Fi 연결형, 스마트폰 연동 제품도 최근 인기

🧩 인터폰 자주 고장 나는 집의 공통점

  • 실외기 부분이 비바람 맞는 구조 → 방수 커버 필요
  • 벽 내부 배선이 오래되어 노후화 → 리모델링 시 전기배선 교체 고려
  • 실내기 근처에 습기 많은 곳 (주방/욕실 벽면) → 고장 확률 증가

✅ 요약 정리

문제가능한 원인간단한 해결법
소리 안 남 벨소리 음소거, 스피커 고장 설정 확인, 수리
전혀 반응 없음 전원 문제, 배선 단선 플러그/차단기 확인
내 말 안 들림 마이크 고장 실외기 점검
벨은 울리는데 화면 안 나옴 모니터 고장 수리 or 교체

💬 마무리하며

인터폰은 생활 속 보안과 연결된 중요한 기기입니다.
고장 증상이 나타났을 때 무조건 수리 부르기보단,
간단한 점검부터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.
오늘 소개한 팁들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😊

반응형

댓글